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땅 꺼짐 현상인 싱크홀, 지난 1년간 전국에서 나흘에 한번 꼴로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대체 왜 생기는지, 대비할 방법은 없는지, 현장 카메라, 곽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전국 곳곳에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알 수 없을뿐더러 일단 싱크홀이 발생하면 더 큰 사고를 막기 위해 메우는 데 분주합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사무실이 밀집한 골목길 한가운데 폭격을 맞은 듯 구멍이 뻥 뚫렸습니다. <br> <br>지름 5m, 깊이 3m 크기의 대형 땅 꺼짐 현상, 싱크홀입니다. <br> <br>[싱크홀 보수 공사 관계자] <br>"(지하) 통신 케이블 박스가 전부 내려앉아서…" <br> <br>추가 붕괴를 막기 위해 버팀목을 설치했지만, 바로 옆 건물은 금방이라도 무너질듯 위태로워 보입니다. <br> <br>[정경동 / 부산 사상구] <br>"급격히 갈라진 게 넓어지면서 꺼짐 현상이 일어나요." <br><br>보수 공사가 한창 진행되던 중 불과 200m 떨어진 곳에서 또 다른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.<br> <br>땅 속을 다시 메우기 위해 모래와 흙을 쏟아붓지만 계속해서 물이 스며들어 작업이 쉽지 않습니다. <br><br>[싱크홀 보수 공사 관계자] <br>"여기 물이 계속 들어오고 있어서 그걸 찾아야 해요. 그래야 복구를 할 수 있어요." <br> <br>지난해부터 이 인근에서만 이런 싱크홀이 무려 9개나 발생했습니다. <br><br>[강신인 / 부산 사상구] <br>"불안해요 사실. 저는 이리로 안 다니고 뒷길로 다녀요." <br><br>지난 1년간 전국 곳곳에서 나흘에 한번 꼴로 싱크홀 현상이 나타났는데,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연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싱크홀의 가장 큰 원인은 낡은 상하수도관입니다. <br><br>싱크홀 10개 중 7개는 수도관 누수 때문에 발생합니다. <br> <br>수도관이 부식된 틈으로 새어나간 지하수가 주변의 흙을 쓸고 내려가면서 지반 침하가 생기는 겁니다.<br> <br>[이수곤 /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] <br>"오래된 상하수도 관로들은 이음매들이 이렇게 벌어져서 싱크홀이 날 확률이 많죠." <br> <br>거기다 계속되는 이상기후로 폭우가 쏟아지면서 지반이 더욱 약해졌습니다. <br> <br>싱크홀을 미리 발견하기 위해 지자체는 의심 지역을 중심으로 일일이 땅속 상황을 확인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수도관의 수압을 확인하거나 탐사 로봇을 통해 누수 여부를 점검하고 레이더로 탐지하는 방식입니다. <br><br>이렇게 땅속을 볼 수 있는 레이더가 차량 아래 장착돼 있는데요. <br> <br>차 내부 모니터를 통해 지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부산시는 이 차량으로 하루에 약 30km를 탐사하는데, 평균적으로 10km당 약 3개의 싱크홀 조짐이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임도형 / 부산시 도로계획과 주무관] <br>"조치를 완료한 다음에 공동(싱크홀) DB를 구축하고 이력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전문가들은 탐지 장비 추가 도입과 전문 인력 확충을 통해 정밀한 지반 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PD: 윤순용 <br>AD: 최승령 <br>작가: 신채원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